Language/Python6 Python_연산자(산술 및 지수) 1 ) 산술연산자 연산자 기호 산술 연산자 + - * / // % 지수 연산자 ** 대입(복합) 연산자 = += -= *= /= //= %= 관계(비교) 연산자 > >= < 2023. 1. 10. Python_formatting 문자열 포매팅 :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바꾸거나 추가할 경우가 있을 때 사용 text 변수의 7번째 자리에 있는 문자열을 변경할 때, 불변한 자료형으로 오류발생 문자열 변경 시, 포맷코드 사용 문자열 포맷 코드 1. %기호 포매팅 %s : 문자열(string) % c: 문자 1개 % d : 정수 (integer) %f : 실수(float-point) %% : literal %(문자 % 자체) 바꾸고자 하는 값이 입력된 변수명 = 바꾸고자 하는 값 변수명 = ' 오늘은 1월 %d 일 입니다.' %바꾸고자하는 값이 입력된 변수명 2. format 함수 포매팅 변수명 = '오늘은 1월 { } 일 입니다.' . format() 안에 입력값이 여러게 있을 때에는 인덱스 값을 입력해줘야 한다. 3. f문자열 포.. 2023. 1. 10. Python _len( ) 및 replace( )함수 len(변수명) : 문자열의 갯수 반환(길이반환) 여기서 len 함수는 .(온점) alc , (쉼표) ,!, ? 등 모두 길이로 반환한다. replace('찾을 문자열' , '변경할 문자열') : 특정 문자열을 찾아서 바꿔주는 함수 변수명.count (찾을 문자열) :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 몇개가 있는지 값을 출력함. 대문자에서 소문자로 변경 시 , 변수명.lower( ) 소문자에서 대문자로 변경 시, 변수명.upper( ) =========tip 2023. 1. 10. Python _ 기초 2(인덱싱 및 슬라이싱) 1 ) 인덱싱 (indexing) : 특정 값을 가르킨다는 개념 2) 슬라이싱(slicing) : 특정 범위를 잘라낸다는 개념 문자열 슬라이싱 [첫 인덱스 : 끝 인덱스 +1] ex ) a 라는 변수에 'This is pen' 이라는 문장이 들어있다. 띄어쓰기를 한 부분도 값에 들어가므로 변수의 범위는 0부터 10까지 이다. This 라는 값을 산출하고 싶다면 변수명 [0 : 끝인덱스 +1] 값을 입력해주면된다. 문장의 처음부터 시작할 때 시작 인덱스 생략가능 [ : 끝인덱스 +1] 문장의 끝까지 산출할 때, 끝 인덱스 생략가능 [첫 인덱스 : ] 문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산출할 때, 모두 생략 가능 [ : ] 증가 혹은 감소하면서 값을 산출하고 싶을 때, -> 변수명 [ 첫 인덱스 : 끝 인덱스 : 증감.. 2023. 1. 10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