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Language/Python

Python _ 기초 2(인덱싱 및 슬라이싱)

by Je's 2023. 1. 10.

1 ) 인덱싱 (indexing) : 특정 을 가르킨다는 개념

2) 슬라이싱(slicing) : 특정 범위를 잘라낸다는 개념

문자열 슬라이싱 [첫 인덱스 : 끝 인덱스 +1]

 

ex ) a 라는 변수에 'This is pen' 이라는 문장이 들어있다. 

띄어쓰기를 한 부분도 값에 들어가므로 변수의 범위는 0부터 10까지 이다.

This 라는 값을 산출하고 싶다면 변수명 [0 : 끝인덱스 +1] 값을 입력해주면된다.

 

<슬라이싱의 특징>

문장의 처음부터 시작할 때 시작 인덱스 생략가능 [ : 끝인덱스 +1]

문장의 끝까지 산출할 때, 끝 인덱스 생략가능 [첫 인덱스 : ]

문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산출할 때, 모두 생략 가능 [ : ]

증가 혹은 감소하면서 값을 산출하고 싶을 때,

-> 변수명 [ 첫 인덱스 : 끝 인덱스 : 증감값 ]

 

ex) 위의 b변수를 처음부터 끝까지 3칸씩 증가하며 슬라이싱으로 산출했다. 

이때 0번째 자리에 있는 a 부터 3씩 증가한 수의 값이 산출된다. 

출력해야하는 내용이 문장의 뒷부분에 있어 인덱스 번호를 알기 어렵다면 

뒤에서부터 - (마이너스)를 붙여 출력할 수 있다. 

 

<문장 이어서 print 하기 >

3) 인덱싱과 find( ) 비교하기 

   3-1) find함수

day라는 변수에서 ' 맑음' 이라는 단어를 찾기 위해 변수명. find(단어) 를 입력했다. 

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17은 17번째에 '맑음' 에 '맑'이라는 글자가 들어있다는 것이다. 

내가 출력하고싶은 글자는 맑음이라는 글자이므로 17번째와 18번째에 있는 글자를 출력해야하며 

출력값은 변수 a 에 저장했다. 

 

3-2) index함수와 find( ) 함수 차이 

찾는 문자(열)이 없었을 때, 산출되는 값이 다르다. 

 
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ython_연산자(산술 및 지수)  (0) 2023.01.10
Python_formatting  (0) 2023.01.10
Python _len( ) 및 replace( )함수  (0) 2023.01.10
Python _변수  (0) 2023.01.09
Python _ 기초  (0) 2023.01.09

댓글